사랑과 아울러서 이별, 그리고 고향을 그린 노래를 많이 불렀습니다. 1970년대에 절정의 인기를 구가하였는데, 1969년 <이정표 없는 거리>로 데뷔, 1972년 <고향이 좋아>를 히트시키며 1971년부터 1973년까지 3년 동안이나 MBC 10대 가수에 뽑혔답니다.
아울러, 김상진의 보이스는 매우 여리고 가늘어서 여성스러운 느낌이 강한데, 1옥타브 초반 정도의 저음에서는 허스키한 느낌이 두드러지며 중성적인 느낌을 내기도 한답니다. <이정표 없는 거리>의 초반 저음은 상당히 허스키하며, <고향이 좋아>에서는 허스키한 저음과 여린 고음이 모두 나온답니다. 이러한 독특한 보이스 때문에 '창법이 저속하다'라는 트집을 잡혀 1970년 <미워도 당신>이 방송 금지를 당하기도 했답니다.
- 이정표 없는 거리
1969년 발매되었습니다. 이인선 작사, 정민섭 작곡으로 김상진의 데뷔곡이랍니다. 작곡가 정민섭이 고속버스를 타고 부산으로 가던 도중 천안을 지나다 문득 충청도, 전라도, 경상도로 갈라지는 천안삼거리가 떠올랐고 그 자리에서 노래를 만들었다고 한답니다.
- 고향이 좋아
1972년 발매되었습니다. 남국인 작사, 작곡. 당시 상당한 히트를 쳤는데, 1977년에 나훈아가 리메이크해서 불렀으며, 주현미도 최근 자신의 유튜브 채널 주현미TV에서 이 노래를 부르고 미스터트롯, 미스트롯 출신인 이찬원과 더불어서, 김의영도 이 노래를 부르는 등 지금도 많이 기억되는 노래입니다. 누가 뭐래도 타향보다 고향이 좋다는 내용의 가사로, 지난 1970년대 초 당시 심화되던 이촌향도 속에서 고향을 떠나온 사람들의 많은 공감을 얻었답니다.